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개발] 이야기/[Flutter] 이야기18

플루터 vs 리엑트 네이티브 진지하게 동작원리 비교하기 두 가지 인기 있는 크로스 플랫폼 모바일 개발 프레임워크인 **플러터(Flutter)**와 **리액트 네이티브(React Native)**는 각각 고유한 방식으로 작동하며, 앱이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렌더링하고 디바이스와 상호작용하는 방식에서 중요한 차이를 보입니다.플러터 (Flutter) 작동 원리플러터는 다트(Dart) 언어를 사용하여 개발되며, 위젯(Widget) 기반으로 UI를 구성합니다. 플러터의 가장 큰 특징은 직접 렌더링(Direct Rendering) 방식입니다.독자적인 렌더링 엔진 (Skia): 플러터는 iOS와 안드로이드의 기본 UI 컴포넌트를 사용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Skia라는 2D 그래픽 렌더링 엔진을 내장하고 있습니다. Skia는 구글 크롬, 안드로이드, 크롬 OS 등 다.. 2025. 5. 23.
Flutter에서 StatefulWidget과 StatelessWidget의 라이프사이클 Flutter에서 StatefulWidget과 StatelessWidget의 라이프사이클Flutter는 두 가지 주요 유형의 위젯을 제공합니다: **StatefulWidget**과 StatelessWidget. 이 두 위젯의 가장 큰 차이점은 상태 관리입니다. **StatelessWidget**은 상태가 변하지 않는 위젯을 나타내며, **StatefulWidget**은 상태가 변할 수 있는 위젯을 나타냅니다. 이 글에서는 두 위젯의 라이프사이클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StatelessWidget의 라이프사이클**StatelessWidget**은 상태가 변하지 않는 위젯입니다. 따라서 한 번 생성되면 다시 빌드되지 않습니다. **StatelessWidget**의 라이프사이클은 매우 간단합니다:생성자 호출:.. 2025. 2. 23.
flutter Dart언어 1.0부터의 변화과정 : 어떻게 변화했는데 알면 어떻게 변할지 알게 됩니다. 다트언어의 목적은 개발 생산성을 향상시킨다는 목적이 뚜렸한 언어 입니다. 이러한 목적 때문에 다트 언어는 자바와 유사성을 보입니다. 이글 을 통해서 다트의 발전 방향서과 장단점, 그리고 특징에 관해서 이해할 수 있습니다.  1. Dart 1.0 다트 1.0은 2013년에 소개되었다 GOTO회의에서 처음 소개되고 2년 만이다. 1.0에서 추가된 주요사항은 "dart2js"이다 이는 다트 언어로 프로그래밍된 코드를 Javascript로 변경해 주는 도구이다. 다트 1.0이 출시되는 시점에 대다수의 브라우저들은 다트언어를 지원하지 않았기 때문에 다트로된 프로그램을 변환하여 브라우저에서 구현하기 위한 도구이다. 하지만 해당 시점의 다트는 자바스크립트의 대항마로 평가받지 못했다. 해당 시점에는 이미 자바스크립트가.. 2024. 7. 26.
flutter 상태관리 중 가강 강력하고 쉬운 라이브러리 Riverpod - a to z 이 글에선 Riverpod의 사용법을 정리하지 않고 각 Provider의 특징과 Riverpod의 특징에 대해서만 이야기 합니다.플루터를 공부한다면 상태관리란 이야기를 많이 들어 보셨을 겁니다상태관리 (State Management)앱을 시작하고 사용자가 화면의 콘텐츠를 변경하고나 보고 있다면 이는 모두 앱의 현태 상태입니다.상태는 화면을 구성하고,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데이터가 변경하는 것들.. 모두 상태입니다.이러한 상태를 쉽게 관리해주게 Riverpod입니다.상태관리의 원래현재의 상태가 변경이 되면 그에따른 데이터가 변경을 하게됩니다.데이터가 변경이 되면 변경된 데이터를 바인딩하고 있는 UI가 데이터에 따라 변경이 되게 됩니다.즉, 상태가 변경이 되면 플루터의 Build함수가 다시 불리워 집니다.그.. 2024. 7. 25.
반응형